임시로 사무실에 테이블을 세팅하고 컴퓨터와 랜선 들을 연결 하기 시작 하였다. 제공된 장비에 허브가 있었다.
파워 스위치 허브 허브, 스위치, poe 허브 들을 아주 간단하게 알고 있었는데 이번에 가져온 허브는 파워 스위치 허브 poe 전력을 제공해 줘서 인터넷 전화기 등에 어댑터가 필요 없는데 허브를 보니 궁금증이 생겼다 uplink 포트가 두개나 있는데 아주 기초적인 나의 상식에선 허브면 그냥 포트만 여러 개 있으면 되는 게 아닌가 였는데 업 링크가 따로 2개 나 있으니 공유기 처럼 wan 포트 하나로 인터넷이 들어오는 선 포트가 하나 있는 게 아니고 업 링크 포트가 두 개나 되었다.
업링크 포트는 좀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상위 네트워크 장비에 네트워킹이 가능하다. 두개가 있는건 다른 대역대의 상위 네트워크에 걸칠 수 있는게 아닐까 싶다. 이부분은 좀더 공부 해야 겠다.
업링크(UpLink) 포트 너는 무엇이냐?
업링크 포트 모양과 광케이블을 꽂을 수 있는 sfp포트들
스위치 허브 그 외의 용도는?
이번에 가져온 장비가 스위치 허브 인데 스위치 허브는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각각의 포트 별로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 설정해 놓으면 네트워크가 분리 되고 vlan led에 불이 들어 오게 된다.
각 포트들은 네트워크가 안되지만 상위 장비 업 링크에 연결된 네트워크와는 네트워크가 되니 그리고 업링크 포트가 두개니 상위의 다른 네트워크가 있다면 둘다 섞어서 쓸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총10개의 포트중 1개는 상위 장비에 연결하고 나머지 9개는 컴퓨터에 연결 했느데 상위 장비가 아니어도 되나?
한개는 상위 장비에 연결해 두었고 인터넷을 딴 메인선 나머지 기본 8포트와 업링크 한개에 컴퓨터를 연결 했는데 업링크는 꼭 상위 노드에 연결 안해도 되는거 같다. 나머지 9개의 컴퓨터 들도 잘 작동이 되니
아무튼 이번엔 스위치 허브의 업링크에 대해 알아 보았다. 업링크는 보다 빠르고 상위 링크랑 연결 되고 스위치 허브의 기능을 사용해 네트웍 분리했을때 상위노드와 네트워크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